무주택자는 집을 사야 할까 기다려야 할까?

2020. 8. 4. 12:28부동산정보/부동산 견해

무주택자는 아파트를 언제 사야할까?

 

 

결론부터 말씀드릴게요.

 

무주택자분들은 내년 6월까지 꼭 집 사세요

 

2~4년 후면 전세량이 감소할거에요. 완전 감소가 아니라 폭감할거라 예상이 되요. 그리고 세금은 월세에 전가되어 집을 사는것이 이득일 정도로
상승할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왜그럴까? 생각해볼까요?
여러분이 2주택자등 다주택자라생각하고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할지 질문하고 답하면 알 수 있어요.

 

1,집값도 오르고 양도세도 올랐어요. (양도세 중과)팔으실거에요?
아니요. 세금 왜 내야하죠?

​2, 집 안팔고 세금은 어떻게 합니까?
전세 월세로 전환하고 세입자한테 받아야죠.

​3, 임대차 3법통과되고 취득세도 오르면 집사실거에요?(취득세 8~12%)
아니요. 절대 안사요.

​4,수익률 적은 주택 계속 전세주실거에요?
아니요 세입자 내보내고 내가 들어가서 살거에요.

​5, 무주택자분은 집을 살거에요?
아니요 정부가 집값 잡는다는데 그냥 전세,월세 살아볼거에요. 지금사면 꼭지같아요.
또는 전,월세 오르기전에 살거에요. 지금 계속 오를거 같아요.

​6.규제지역에 입주를 해야 대출이 나오는데 집사서 전세 줄거에요?
아니요 입주해야 양도세 감면받도 대출도 나오는데 입주해야죠.

결론

전세 공급은 줄어드는데 전세 수요는 많아지는 현상이 벌어질 가능성이 매우크고, 따라서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무너지게 되어 전세 가격 폭등을 불러올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어요. 높은 양도세로 시장에 매물자체가 안나올것이고 주택 실거주 요건을 강화 시켜서 전세 물량은 3년간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더 강한 실거주 요건강화정책으로 인해 불난 전세값폭등상황에 기름을 부은 격이라 생각이 들어요. 
지금 현재는 주택, 아파트의 가격보다 중요하게 생각해야하는 점은 내가 주택에 등기를 쳤냐 안쳤냐, 즉 소유 여부가 중요한 시점이에요. 이미 주탥을 소유하신분들은 임대3법이 통과되었으니 2~4년후 이 정책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올시점에 미소짓게 될거에요. 마지막으로 왜 6월까지 집을 사야하냐면 법인과 다죽택자가 매물을 던지는 시점이 올해, 내년 6월까지에요. 마지막 마지노선이니 6월이 지나면 다시 매물은 안나오게 될거에요. 따라서 주택 가격은 본격적으로 상승할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되요.

https://blog.naver.com/aster27/222009630081

 

617 부동산대책- 법인 규제에대해 알아보자.

617 부동산대책법인규제에 대해알아보자.얼마전 617 대책에서 가장큰 내용은 법인데 대한 규제에요. 그동안...

blog.naver.com

617대책 법인규제 부분링크 걸어드릴게요.
왜 법인 및 다주택자가 주택을 팔아야하는지, 그리고 무주택자는 그 매물을 노려야하는지 깊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어요.

 

임대차3법
종부세 인상
취득세 인상
양도세 인상
임대사업자 혜택폐지(건강보험료, 소득세, 임대보증보험가입의무화)
규제지역내 입주요건 강화

 

모든 정책이 임대목적으로는 주택을 취득하지 말라. 그리고 이미 취득한 주택도 팔아라.(물론 세금내고)라는 정책이 나오고 있어요. 다주택자(임대사업자)가 없으면 전세,월세도 없는거에요. 매물은 씨가 마르고 주택가치는 계속 상승하는데 전, 월세 들어오고 싶은 사람들은 많게 되요. 만약 전,월세 가격이 낮은 가격에 머물러 있다면 프리미엄을 주고서라도 들어오겠다라는 사람이 나오게 될거에요. 이는 즉 암시장이 형성된다는 말이에요. 이렇게 되면 이제는 임차인에게 그 피해가 돌아가게 되겠죠.  1세대 1주택이라는 말은 허황된 말이에요. 모두가 1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면 이사를 어떻게 갈까요? 비어있는 집이 없는데 서울살아야하는 사람은 계속해서 서울 살아야하고, 강남사는 사람은 계속 강남에 살아야해요. 강남에 살고 싶은 사람은 강남 사는 사람이 죽을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현상이 생길거에요. 이렇듯 모두가 살고싶은 강남은 계속 가격이 오를거고 살기 싫은 지방은 계속 떨어지겠죠. 추가적으로 부동산 규제 법안이 매일 새롭게 추가되어 나오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고요. 규제로 인한 불확실한 부동산 시장상황에서는 피로감이 극에 달하고 있어요.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똘똘한 1채를 보유하라는 메세지를 보내고 있다고 생각해요. 다주택자들은 지방, 경기도외곽부터 매도를 시작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어요. 법인 및 다주택자 외지인 거래비중이 높은 지역이 크게 타격받을것으로 예상이 되요.